본문 바로가기
728x90

후기10

데보션영 도서 스터디 후기: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안녕하세요! 이번 글에서는 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을 교재로 한 데보션영 스터디 후기를 공유하려고 합니다. 10월 5일, 약 14주간 이어졌던 JPA 도서 스터디가 마무리되었습니다.책의 저자인 김영한님의 강의와 함께 스터디에 참여하면서, 혼자 공부할 때보다 훨씬 체계적으로 JPA에 대해 이해할 수 있었던 값진 시간이었습니다. 이번 글을 통해 스터디의 진행 방식, 주요 학습 내용, 그리고 느낀 점을 정리해보겠습니다.스터디 시작운이 좋게도 가장 인기가 많았던 jpa프로그래밍 책으로 스터디를 진행하게 됐는데요. jpa 사용은 할 수 있지만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는 느낌을 받았는데 이번 기회에 꼭꼭 씹어 먹어보려고 합니다! (좋은책 지원해주신 데보션영 상기님 하늬님께 너무 감사드립니다!!🙇‍♂.. 2024. 11. 27.
데보션 전문가를 만나다) 커리어, 기술, 그리고 성장의 비결 안녕하세요, 데보션영 3기 Techwave Team 신중은입니다.얼마 전, DEVOCEAN YOUNG 활동 중 SK 전문가님과 인터뷰를 진행할 기회를 얻었습니다! 현업에서 활약 중인 전문가님의 진솔한 이야기와 깊이 있는 조언을 들으며, 커리어와 기술에 대한 많은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었는데요, 이를 여러분과 나누고자 합니다. 이번 인터뷰는 약 3시간 동안 진행되었으며, 커리어 설계, 기술 습득 방법, 성장의 비결에 대한 다양한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인터뷰 개요일시: 저녁 7시장소: SKT 타워 지하 2층참여자: 신중은, 이강희, 조자영, 황서아진행 방식: 대면 인터뷰소요 시간: 약 3시간Q1. 간단한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저는 배기도라고 합니다. 2002년에 커리어를 시작해서 23년 동안 개발자로 일하.. 2024. 11. 25.
SKT 미래기술 체험관 티움(T.um) 투어 후기 SKT 미래기술 체험관 티움(T.um) 투어 후기오늘은 SKT의 티움투어를 다녀와서 해당 후기를 작성해보고자 합니다.이 글은 데보션영 3기 활동으로 지원받아 체험을 진행했습니다.안녕하세요! 이번에 SKT의 미래기술 체험관인 티움(T.um) 투어를 다녀온 이야기를 들려드리려고 합니다. 정말 많은 것을 보고 느끼고 왔던 하루였어요. 😊🏙️ 티움이란?티움(T.um)은 SK텔레콤의 을지로 본사에 위치한 체험형 전시관으로, SKT가 꿈꾸는 미래 기술과 비전을 직접 경험해볼 수 있는 공간입니다.‘티움’이라는 이름은 ’테크놀로지(Technology)’와 ’뮤지엄(Museum)’을 합친 단어로, 미래의 싹을 틔우겠다는 의미도 담고 있다고 해요!자세한 정보는 공식 사이트에서 확인할 수 있어요.https://tum.s.. 2024. 11. 24.
[도커 사용법 세미나] Docker를 활용한 효율적 개발 및 보안 전략(데보션 테크세미나) 시작하며안녕하세요! 저는 데보션영 3기 Techwave팀의 신중은입니다! 오늘은 지난 실용주의 글쓰기 세미나를 이어서 9월 26일에 열린 37차 테크 세미나의 리뷰를 작성하겠습니다. 이번 세미나는 Docker Captain인 염근철님의 발표로 진행되었습니다. 세미나 주제는 "Docker를 활용한 효율적 개발 및 보안전략"이었으며, Docker의 핵심 기능들을 보다 효율적으로 활용하는 방법과 최신 기능에 대한 소개를 하는 것이 세미나의 주요한 내용입니다.발표자 소개발표자는 도커캡틴으로 활동하고 계씬 염근철님이었습니다.- 현) 당근 SRE팀 소속- Docker Captain 🐳- 프로젝트    - SKHynix: 사내 머신러닝 대회 플랫폼 (If-Kaggle) 개발    - 우리은행: AI 서비스 허브 개.. 2024. 11. 23.
[9월 데보션영 영전용 세미나 후기] 개발자로서 성장과 취업을 모두 잡은 세미나 후기 공유 최근 진행된 데보션영 영전용 세미나에서 들은 귀중한 인사이트를 정리해보고자 합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개발자 취업을 준비하는 많은 이들이 고민하는 부분들에 대해 현직자들이 들려준 실질적인 조언들을 들을 수 있었습니다. 세미나에 참여한 세 분의 발표 내용을 중심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김한성 데보션 프로님: 취업 준비생들이 자주 묻는 질문 TOP 5김한성 프로님은 많은 취업 준비생들이 공통적으로 하는 질문들을 다루며, 그에 대한 답변을 주는 방식으로 진행하였습니다.1. 석사를 해야 할까요? (+부트캠프, 코딩학원)취업 준비가 1~2년 넘게 지속되고 있다면 체계적인 교육과정을 고려해 볼 시점입니다. 독학의 효율이 떨어진다면 부트캠프나 코딩 학원을 통해 집중적인 학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단순히 기술 스택을 나.. 2024. 11. 23.
[취업준비에 대한 현실적인 조언!] 취업준비가 막막할 때 찾아온 데보션영 3기 영전용 8월 세미나 후기 시작하며 지난 2024년 8월 4일, 데보션 영 전용 세미나가 열렸습니다. 이 세미나는 대학생, 특히 취업을 앞둔 취준생들에게 꼭 필요한 알찬 내용들로 가득했습니다. SK그룹에서 활약 중인 세 분의 발표자들이 각자의 경험을 생생하게 공유하며, 현실적인 조언과 취업 준비 과정에서 알아야 할 실질적인 정보를 제공해 주셨습니다.저는 이번 세미나가 그저 정보 제공에 그치지 않고, 각자의 경험과 사례를 통해 공감과 동기부여를 주는 자리였다고 생각합니다. 세 가지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된 이번 세미나의 주요 내용을 정리해보았습니다. 다른 분들의 취업 준비에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1. 인턴 4번 하고 취업한 자의 지독한 취업 스토리 – 정해웅님   발표자: SK하이닉스 SSD 검증팀 정해웅님주제: 다양한 경험과 치열.. 2024. 11. 22.
Aws saa C03 후기 시험을 보게 된 계기1학기 종강하고 의미 있는 방학을 보내고 싶어서 4주정도 공부해서 aws-saa 자격증을 취득했다.그동안 프로젝트를 위해 aws를 사용할 때는 항상 블로그 글에 의존하면서 세팅했던 기억이 있다.각각 설정해준 것의 의미도 잘 모르고 사용하고 있어서 언젠가 한번 제대로 공부해야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이전에 sqld를 공부할 때 데이터베이스와 SQL에 대한 이해가 늘어났듯 이번에도 같은 느낌으로 준비해봤다. 그리고 aws를 사용할줄 안다고 해서 그걸 객관적으로 증명하는 건 어렵다고 생각한다.그런 측면에서도 자격증이 있는게 더 취업에도 도움이 될 것 같다는 생각으로 준비하게 됐다.사실 무엇보다 자기 만족인 것 같다. 왜 saa인가?https://aws.amazon.com/ko/certific.. 2024. 8. 7.
블로그 비교 (Sub. 블로그 낭인의 블로그 정착기) 블로그. 요즘 개발자라고 하면 필수처럼 여겨지는 소양이다. 나는 여러 블로그 플랫폼을 옮겨가며, 블로그를 운영해 봤다.이번 블로그가 내겐 제대로 운영하는 4번째 블로그이다.그럼 내 블로그 역사를 먼저 이야기해 보겠다.처음으로 만든 블로그는 네이버이다. 코딩을 처음 시작하면서 공부하는 내용들을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했다. 그때 나는 블로그를 학습 노트로 사용했다.개발자에게는 티스토리가 더 좋다고 해서 Tistory로 모든 개발 관련 글을 옮겨서 Tistory를 운영했고, Velog를 잠깐 쓰고, Medium으로 이동했다가 결국 Tistory로 다시 돌아왔다.. 그 과정에서 velog, github page, WordPress 등을 잠깐 사용해 봤지만 취향에 맞지 않아서 모두 정착에 실패했다.그동안 다양한 블.. 2024. 8. 7.
기술 블로그 작성법 (feat. 데보션 글또 세미나) 좋은 글이란 무엇일까? 어려운 질문이다. 200개가 넘는 글이 있는데도, 내 블로그는 남에게 보여주기에 부끄러웠고 좋은 글이란 무엇일지 왜 내 블로그는 이렇게 별로일까, 고민이 깊어지고 있었다.처음에 블로그를 시작한 건 오늘 내가 공부한 내용을 기록하자. 즉 일기장의 개념으로 시작됐다.그저 내가 공부하고 새롭게 알게 된 내용을 정리하며 글을 쓰는 것에 의미를 두고 글을 썼다. 하지만 점점 이런 글이 쌓이고 어느 순간 큰 의미가 없다고 느껴, 글을 쓰고 싶지 않아져 글쓰기를 점점 미루게 됐다.블로그에 꽤 많은 글이 쌓여있지만, 글의 깊이감과 퀄리티는 관리가 되고 있지 않았고, 내가 쓴 글이 다 쓸모가 없어 보였다.마침, SKT 데보션에서 실용주의 기술 블로그 글쓰기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강연 연사는 유.. 2024. 5. 20.
728x90